응급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신속하게 의료 지원을 받는 일일텐데요.
일반적으로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119 구급차를 이용하게 되지만, 비응급 상황인 경우에는 사설 응급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요. 또한 119 구급차와 사설 구급차에는 몇 가지 차이점도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사설 구급차 비용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19 구급차 비용 가격: 무료 이송 서비스
119 구급차는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국가 지원 서비스입니다.
응급 환자 이송에 필요한 모든 비용은 국가가 부담하므로, 사용자는 거리나 시간에 상관없이 추가 요금 걱정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응급 상황이 아니거나 허위 신고일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19 구급차는 주로 생명이 위급한 환자들이 이용하게 되는 만큼, 허위 신고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해요.
사설 구급차 비용 가격: 유료 이송 서비스
일반적으로 사설 구급차는 비응급 상황에서 다른 병원으로 이동하거나 퇴원할 때 이용하게 되는데요.
이 서비스는 유료로 이용할 수 있고, 기본 요금과 필요한 경우에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 기본 요금: 약 30,000원 (10킬로미터 이내)이 부관됩니다.
- 추가 요금: 10킬로미터 초과 시 킬로미터당 약 1,000원 추가됩니다.
- 의료 인력 동반: 간호사나 의사가 함께 가는 경우에는 추가로 약 15,000원이 부과됩니다.
- 특수 구급차 요금: 특수 구급차는 고급 의료 장비를 갖추고 있어 특정 의료 상황에 맞춰 이용하게 되는데요. 기본 요금은 약 75,000원, 10킬로 이후 킬로미터당 약 1,300원이 추가됩니다.
* 119 구급차는 긴급 상황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서는 119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응급 상황에서는 사설 구급차가 필요할 수 있으나, 이 사설 구급차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유료 서비스에요.
만약 환자가 중증 환자로 의료보험공단에 등록된 경우에는 시에서 운용하는 중증환자 구급차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중증환자 구급차는 사설 구급차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