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포화도 수치 SpO2 정상범위 저산소증 증상

산소포화도 수치는 우리 몸에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데요. 이 수치가 너무 낮은 경우에 저산소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평소에 관리하는 게 필요합니다.

오늘은 산소포화도 수치와 저산소증 증상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소포화도는 혈액 내 산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산소포화도 SpO2란

산소포화도는 혈액 내 산소 농도를 말하는데, 산소포화도가 너무 낮으면 저산소증으로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산소포화도 수치 정상범위

산소포화도 정상범위는 개인의 상태나 질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치에 따릅니다.

  • 95~100%: 정상범위
  • 91~94%: 저산소증 주의 상태(심각하지는 않지만,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조심해야 하는 단계)
  • 81~90%: 저산소증 상태(호흡 곤란을 동반)
  • 80% 이하: 심한 저산소증 상태(영구적인 손상이나 생명이 위험한 상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소포화도는 95% 이상을 유지할 때 정상범위로 간주하는데, 90% 밑으로 떨어지면 체내에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서 호흡 곤란이 나타나거나 뇌, 심장 등에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저산소증 증상

산소포화도가 떨어져서 저산소증이 생기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
  • 두통
  • 어지럼증
  • 무기력함
  • 시야 흐려짐
  • 가슴 두근거림
  • 가슴 통증
  • 의식 저하
  • 청색증
  • 혼절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응급처치가 필요한데 인공호흡기, 산소호흡기 등을 사용해서 산소포화도를 높여야 합니다.



오늘은 산소포화도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평소에 충분한 영양 섭취, 수면, 휴식, 체중 관리, 금연 등을 통해 몸 상태를 관리하고,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원인을 파악해서 치료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측정기를 사용해서 산소포화도를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 최근에는 휴대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을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