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결절종 손목 혹 원인 증상 치료법

갑자기 손목에 말랑말랑한 혹이 튀어나온 것을 발견하면 놀라지 않을 수 없는데요.

이처럼 손목에 볼록하게 혹이 생겼다면 손목 결절종이 아닌지 검사를 해보는 게 필요합니다.

오늘은 손목 결절종의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손목에 말랑말랑한 혹이 생겼다면 손목 결절종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손목 결절종이란

결절종은 노랗고 끈적이는 액체(점액질)를 함유하고 있는 양성 종양으로, 말 그대로 손목에 결절종이 생기는 질환을 손목 결절종이라고 합니다.

손목 결절종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10~30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손목 결절종 원인

아직까지 손목 결절종이 생기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각종 외상으로 인해 관절액이 새어나와 고이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손목 결절종은 다음과 같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컴퓨터, 스마트폰을 많이 쓰는 등 손목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
  • 테니스, 골프 등 손목에 무리가 가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는 사람
  • 외상으로 인해 관절이 손상된 사람
  • 관절염이 있는 사람


손목 결절종 증상

손목 결절종 증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손목에 1~2cm 정도 크기의 작은 고무공처럼 느껴지는 혹이 튀어나옵니다.
  • 혹 안쪾에 맑은 액체 상태의 물질(점액질)이 들어 있는데, 이 곳에 빛을 비추면 통과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합니다.
  • 통증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손목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해지면 팔 안쪽까지 통증을 느끼거나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손목 결절종 치료법

손목 결절종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증이 없는 경우에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혹의 크기가 크고, 통증을 동반하며, 미관상 신경이 쓰이는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법은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1. 비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는 주사기로 결절종 안에 있는 액체(점액질)을 빼내는 방법입니다.

치료가 간단하고 흉터도 거의 남지 않지만,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2.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에는 피부를 절개해 점액질이 차오르는 주머니와 관절막을 함께 제거하는 방법인 절개술과 내시경으로 손목 결정종을 치료하는 방법이 주로 시행됩니다.



오늘은 손목 결절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손목 결절종은 한 번 생기면 수술을 해도 재발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손목에 혹이 생기면 방치하지 말고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특히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이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손목 스트레칭을 통해 손목 관리를 꾸준하게 해야 합니다.

오늘 포스팅이 손목 결절종으로 불편함을 겪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