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린아이 증후군이란

흔들린아이 증후군이란 증상을 알고 계신가요.

아이를 키우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용어지만, 아이를 돌보는 분들이 알아두시면 유익한 내용이 될 것 같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흔들린아이 증후군의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흔들린아이 증후군은 아이를 위아래 또는 앞뒤로 심하게 흔드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들린아이 증후군이란

흔들린아이 증후군이란 울거나 보채는 아이를 위아래 또는 앞뒤로 심하게 흔드는 경우에 아이의 뇌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발생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2세 미만의 아이는 머리가 체중의 10% 정도를 차지하는데, 성인에 비해 비교적 큰 데다 머리를 지탱하는 목 근육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흔들린아이 증후군은 6개월 미만 신생아에게 발병할 확률이 높다고 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흔들린아이 증후군 증상

흔들린아이 증후군 증상은 충격 및 손상의 정도에 따라 경증부터 중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눈동자가 떨리는 증상인 안구진탕
  • 팔, 다리 마비
  • 뇌출혈
  • 망막 출혈
  • 구토
  • 발작
  • 청력 상실
  • 발달 장애
  • 늑골 골절

흔들린아이 증후군은 의사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영유아에게 나타나는 증상인 만큼, 초기에 발견하는 게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아이가 심하게 보채거나 구토를 하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게 됩니다.

만약 뇌출혈이 발생했다면 아이의 팔다리에 힘이 빠지고, 눈이 충혈되며, 경련 등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만약 아이가 심하게 보태거나 불편한 증상을 보인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흔들린아이 증후군 예방법

흔들린아이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아이를 반복적으로 심하게 흔드는 행동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하지만 흔들린아이 증후군은 아기를 심하게 흔드는 경우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가벼운 자극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흔들린아이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행동은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 아이를 등에 업거나 어깨에 무등을 태워 심하게 걷거나 움직이는 행동
  • 아이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위아래로 심하게 툭툭 치는 행동
  • 장난으로 아이를 공중에 던졌다가 받는 행동



이번 포스팅에서는 흔들린아이 증후군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흔들린아이 증후군은 심한 자극을 반복적으로 주는 경우에 발생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아이를 돌보면서 생기는 가벼운 자극에 너무 걱정하지 않고 건강한 육아를 하시길 바랍니다.